만월산 이야기

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스님 임 성빈 입니다.

작성자
등록일2010년 08월 08일 (15:56)조회수조회수 : 3,289

스님 복 더위에 어찌 지내시나요?

직접 찾아 뵙고 안부를 여쭈어야 하는데 이리 지면으로라마 인사를 올립니다.

스님을 생각하면 늘 죄스런 마음 뿐 입니다.

성의가 없서인줄 알면서도 제대로 못해서 죄송합니다.

만월산의 맑은 공기와 계곡의 물도 좋을것 같고요

뭐가 그리 분주한지 매일매일이 �기듯 지나가요.

가까운 지인들에게는 늘 우리 스님 자랑을 하곤 했더니 한번 가자고 합니다.

아마도 피서철은 복잡하니 피서철이 지나고 나면 제가 스님을 찾아 뵐게요.

그럼 스님 항상 건강 하시고 잘 지내 세요...

 

 

                                                                    서울에서 임 성빈 올림

 

 

 






      흔적이 남는 인생

      사람이 머물다 떠난 자리는
      어떤 흔적이든 흔적이 남기 마련입니다.

      결혼식이 끝난 후에는
      꽃잎과 꽃가루가 남습니다.

      군인들이 야영하다 떠난 자리에는
      텐트 친 자리와 트럭의 흔적이 있고

      야영객이 놀다 떠난 산 계곡에는
      쓰레기와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습니다.

      사람이 이 땅에 머물다 떠나면
      크게 두 가지로 흔적이 남게 됩니다.

      첫째는, 사람이 세상에 살면서
      행한 행실이 흔적으로 남습니다.

      어떤 이는 악하고 추한 행실의 흔적이 남고
      또 다른 이는 자랑스럽고 고귀한 흔적이 남습니다.

      구한말의 매국노 이완용은 지금까지
      비참하고 더러운 이름으로 남아 있지만

      조국을 위해 제 한 몸
      초개같이 불살랐던 안중근 의사나

      울면서 달라붙은 아들에게 "아들아, 너는 나만의 아들이 아니다.
      나는 너만의 아비가 아니다."라는 말을 남기고 상해로 떠났던
      윤봉길 의사는 찬란하고 자랑스러운 이름으로 남아 있습니다.

      둘째로, 사람은 자손을 흔적으로 남깁니다.

      시인은 시로 말하고
      음악가는 오선지로 말을 합니다.

      화가는 그림으로 말하듯
      그분이 남기신 흔적입니다 .

      아브라함이 머물다 떠난 자리에는 천막 친 자리와
      제단 쌓은 자리가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도 언젠가는 떠날 텐데
      어떤 흔적을 남겨야 합니까?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은
      평소 한 가지 소원이 있었습니다.

      마지막 날 그를 땅에 묻고 돌아가는
      사람들에게서 이런 말을 듣고 싶었답니다.

      "아브라함 링컨, 그는
      잡초를 뽑고 꽃을 심다 떠난 사람이다"

      우리도 잡초를 뽑고 꽃을 심다
      떠나는 인생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도 健康하고 幸福한 하루가 되세요!!!!!!!!!!
코멘트현황
게시물처리 버튼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만월산이야기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20 제야(除夜)의 차 한잔
/ 09-02-17 (화) / 조회 : 2,130
09-02-17 16:032,130
19 무위진인(無爲眞人)
/ 09-02-17 (화) / 조회 : 2,167
09-02-17 16:022,167
18 천하에 내 집 아닌 곳이 없도다
/ 09-02-17 (화) / 조회 : 2,115
09-02-17 16:022,115
17 선서화전에 모십니다
/ 09-02-17 (화) / 조회 : 1,998
09-02-17 16:021,998
16 가을을 보내며
/ 09-02-17 (화) / 조회 : 1,974
09-02-17 16:011,974
15 태풍'매미'를 보내고 나서
/ 09-02-17 (화) / 조회 : 1,976
09-02-17 16:011,976
14 콘크리트 길보다는 흙길로!
/ 09-02-17 (화) / 조회 : 2,030
09-02-17 16:012,030
13 겨울 가뭄
/ 09-02-17 (화) / 조회 : 2,030
09-02-17 16:002,030
12 끈질긴 판촉 전화
/ 09-02-17 (화) / 조회 : 1,970
09-02-17 16:001,970
11 가을 성지 순례
/ 09-02-17 (화) / 조회 : 1,957
09-02-17 16:001,957
10 가을 산사의 넉넉함
/ 09-02-17 (화) / 조회 : 2,111
09-02-17 15:592,111
9 가을을 넉넉하게 한 여름
/ 09-02-17 (화) / 조회 : 2,027
09-02-17 15:592,027
8 착한 벗을 가까이 하라
/ 09-02-17 (화) / 조회 : 2,012
09-02-17 15:592,012
7 마음이 고운 사람들
/ 09-02-17 (화) / 조회 : 1,981
09-02-17 15:581,981
6 살아있는 흙의 감미로움
/ 09-02-17 (화) / 조회 : 1,961
09-02-17 15:581,961
5 풀국새 소리 들으며…
/ 09-02-17 (화) / 조회 : 2,025
09-02-17 15:582,025
4 며느리 밥풀꽃
/ 09-02-17 (화) / 조회 : 2,048
09-02-17 15:582,048
3 산천을 깨우는 봄의 소리
/ 09-02-17 (화) / 조회 : 2,002
09-02-17 15:572,002
2 아름다운 감나무
/ 09-02-17 (화) / 조회 : 1,971
09-02-17 12:421,971
1 현덕사 자랑거리
/ 09-02-17 (화) / 조회 : 1,985
09-02-17 12:411,985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1 2 3 4 5 6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