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일체유심조 ( 불교신문 9월 7일 )

작성자
등록일2009년 02월 12일 (15:19)조회수조회수 : 3,342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마음밖에 아무것도 없는데
따로 무엇을 구하랴”

올여름 작열하던 뙤약볕도 입추란 절기 앞에선 고개를 숙이기 시작하더니 이젠 아침저녁의 선선한 바람이 사람을 움츠리게 만든다. 온다는 연락도 없이 친한 도반이 찾아 온 것처럼 마음속으론 가을이 온 것이 몹시 설렌다. 모든 것이 가면 오고, 오면 가는 것이라지만 계절이 바뀔 때마다 허전한 그 무엇 때문에 아직도 어린애처럼 마당가를 서성이게 된다.

출가하기 전 동네 친구들한테, 항상 하는 이야기가 있었다.

“모든 사람들의 마음은 같고, 단지 생각이 다를 뿐이다”

“모든 것은 생각이 다 만든 것이다”

이 말을 샘물에 비유해 많이 이야기했는데, 샘물의 원천은 마음이라고 하고, 흘러나오는 물은 생각이라고 했었다. 이 물을 길 가는 목마른 나그네가 마실 수도 있고, 밤새우는 구슬피 우는 소쩍새가 마셔 소쩍소쩍 하는 소쩍새 울음소리로 나올 수도 있다.

온 산을 뛰어 헤매는 산토끼가 마실 수도 있고 ,그리고 살기충천한 독사가 마셔 맹독의 독을 만들 수도 있다. 샘 밑에 자리 잡고 살고 있는 산딸기나무가 먹으면 예쁘고 맛있는 산딸기를 맺고, 산당화가 먹으면 넉넉한 분홍 꽃잎으로 피어나서 소박한 향기로 거듭날 것이다.

샘에서 솟은 물은 하나로 솟았지만 인연 따라 갖가지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다.

우리들의 생각도 불성의 원천인 마음에서 나와서 한없이 자비스럽기도 하고, 때로는 질풍노도와 같이 무섭기도 하다. 예쁜 꽃을 보면서 사랑스러운 생각을 내기도 하고, 아름다운 산새들의 노래 소리를 들으면 즐겁기도 하다. 그래서 마음을 어디다가 쓰느냐에 따라 선, 악 , 사랑도 미움도 깨달음도 우매함도 함께 할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출가에 뜻을 두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세상사는 것이 그냥 그렇고 그렇게 보였고, 항상 마음은 깊은 산중 절에 가 있었다. 청년회를 다녀서인지 인연 있는 스님들이 몇 분 계셨는데, 절에 며칠씩 머무르면 마을에 내려가고 싶은 마음이 없어졌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마을에 내려오면 또 절에 가야지 절에 가야지 하면서 마음은 콩밭에 있는 생활을 반복하기도 했다.

지금은 출가하기 전 나의 바람대로 강원도 강릉의 깊은 산골에 숨어 부처님 모시고 솔바람소리, 산새소리 들으며 살고 있다.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왜 그렇게 힘들고 어렵게 사냐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원효스님의 말씀처럼 “모든 것은 일체유심조(一切有心造)고, 모든 걸 마음으로 짓고 만들기”에 지금 나의 생활은 무척이나 즐겁고 행복하다. 가끔씩은 옷이 땀에 흠뻑 젖도록 운력도 하고, 경전도 보고 그리고 신심이 나면 며칠씩 좌선 삼매에 빠지기도 한다.

심생즉 종종법생(心生則 種種法生: 마음이 생하는 까닭에 여러 가지 법이 생기고)/ 심멸즉 감분불이(心滅則 龕墳不二: 마음이 멸하면 감(龕)과 분(墳)이 다르지 않네)/ 삼계유심 만법유식(三界唯心 萬法唯識: 삼계가 오직 마음이요, 모든 현상이 또한 식(識)에 기초한다.)/ 심외무법 호용별구(心外無法 胡用別求: 마음밖에 아무 것도 없는데 무엇을 따로 구하랴)

오늘도 원효스님의 이 말씀을 가슴 속에 되새기며, 시원한 가을바람을 벗 삼아 호미를 찾아 들고 얼마 전에 심어 놓은 배추밭으로 간다.

현종스님/ 강릉 현덕사 주지

[불교신문 2160호/ 9월7일자]

2005-09-03 오전 11:41:01 등록
코멘트현황
코멘트작성
※ 삭제나 수정시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물처리 버튼
새글 작성하기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자유게시판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224 모두가 하나되는 기쁜날이 었습니다.
/ 09-02-12 (목) / 조회 : 3,364
09-02-12 15:083,364
223 마음에 입는 불교티셔츠 뜰에서 인사드립니다.
/ 09-02-12 (목) / 조회 : 3,370
09-02-12 15:073,370
222 동식물 수륙 천도제 발원문
/ 09-02-12 (목) / 조회 : 3,431
09-02-12 15:073,431
221 문화일보에 보도된 동식물 천도재 기사입니다.
/ 09-02-12 (목) / 조회 : 3,335
09-02-12 15:073,335
220 동실물 수륙천도재(강원일보 기사입니다.)
/ 09-02-12 (목) / 조회 : 3,467
09-02-12 15:063,467
219 강원도민일보 기사입니다. (동식물 천도제)
/ 09-02-12 (목) / 조회 : 3,514
09-02-12 15:053,514
218 세게일보에 보도된 내용입니다.(동식물 천도제)
/ 09-02-12 (목) / 조회 : 3,459
09-02-12 15:053,459
217 연합뉴스에 보도된 2005년 동식물 천도재 기사입니다.
/ 09-02-12 (목) / 조회 : 3,348
09-02-12 15:043,348
216 아름다운 천도재(불교신문 기사입니다.)
/ 09-02-12 (목) / 조회 : 3,455
09-02-12 15:043,455
215 대들보가 올라 갔습니다.
/ 09-02-12 (목) / 조회 : 3,291
09-02-12 15:033,291
214 불사가 원만하게 진행되어 기쁩니다.
/ 09-02-12 (목) / 조회 : 3,271
09-02-12 15:033,271
213 대웅전 기둥이 섰습니다.
/ 09-02-12 (목) / 조회 : 3,287
09-02-12 14:553,287
212 아침의 향기
/ 09-02-12 (목) / 조회 : 3,329
09-02-12 14:543,329
211 어머니께 드리는 노래
/ 09-02-12 (목) / 조회 : 3,352
09-02-12 14:543,352
210 좋은하루
/ 09-02-12 (목) / 조회 : 3,442
09-02-12 14:313,442
209 스님 저 규남입니다.
/ 09-02-12 (목) / 조회 : 3,502
09-02-12 14:283,502
208 [RE] 규남에게
/ 09-02-12 (목) / 조회 : 1,166
09-02-12 14:311,166
207 서울에 잘 왔읍니다.
/ 09-02-12 (목) / 조회 : 3,401
09-02-12 14:283,401
206 5월은 부처님 오신 달--- 가정의 달
/ 09-02-12 (목) / 조회 : 3,271
09-02-12 14:283,271
205 이제서야
/ 09-02-12 (목) / 조회 : 3,252
09-02-12 14:273,252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새글 작성하기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