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자연이 부처님이다”

작성자현종
등록일2009년 02월 21일 (18:46)조회수조회수 : 3,956
“자연이 부처님이다”
[기고] 현종스님 / 강릉불교환경연대 대표


“산과 강 파헤치는 건

法身 훼손과 같은 일”

세월의 변화는 무상(無常)하다. 언제 하루가 지났는지, 언제 한 달이 지났는지 모를 만큼 빠른 속도로 흐르는 것이 세월이다. 엊그제 새해가 시작된 것 같은데, 벌써 한해가 다 지나가고 있다.

눈이 펑펑 쏟아져 산하대지가 흰 솜을 덮은 올 겨울 어느 날. 강원도 산골 절에서 밤하늘을 바라보았다. 달빛과 별빛이 눈에 반사되어 마치 꿈속에 있는 듯한 ‘즐거운 착각’에 빠졌다. 간혹 바람에 몸을 맡기고 자유롭게 날아가는 흰 눈을 바라보고 있으면 ‘자연의 존엄한 모습’에 저절로 경외심이 생긴다.

아무래도 겨울은 찬바람과 흰 눈이 있어야 제격이다. 그래야 겨울답다.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만약 겨울에 따뜻한 바람이 불고 장맛비가 온다면 어떨까. 그것은 겨울이 아니다. 자연의 순리를 역행하는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겨울은 겨울다워야 하고, 여름은 여름다워야 한다. 또 나무는 나무여야 하고, 돌은 돌이어야 한다.

그럼에도 단지 사람의 욕심으로 자연을 훼손하고 파괴하는 것은 순리를 거역하는 것이다. 되도록 ‘있는 그대로’ 두어야 하는 것이 자연의 순리이고 질서이다. 하지만 우리들은 어떠한가. 인간의 부질없는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길을 내고, 산을 깎는다. 물론 불가피하게 길을 내야하고, 어쩔 수 없이 산을 깎아야 하는 일이 없을 수는 없다. 그렇지만 지나치게 길을 많이 내고, 도를 넘어 산을 깎는 일이 비일비재한 우리의 삶을 반성해야만 한다.

불교환경연대 창립선언문을 살펴보면 ‘청정불국토 건설’의 과제로 자연을 ‘있는 그대로’ 두어야 함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 산은 동강나고 강은 물고기가 살 수 없는 죽음의 터가 되었습니다. 물신주의 노예가 된 인간중생들이 제일인 양, 불성의 종자를 지닌 미물의 삶터마저도 파헤친 결과입니다. 어제의 일이 아닙니다. 오늘도 산은 파헤쳐지고 강물은 썩어가고 있습니다. 자연은 정복의 대상이며, 인간을 위해서는 죽음으로 내몰아도 된다는 폭력적인 사고를 현명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국민 대다수가 반대하는 대운하를 강행하려는 뜻을 기회 있을 때마다 비추고 있다. 국민들의 반대로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한 약속을 하지 않았던가. 그럼에도 ‘4대강 정비’라는 그럴듯한 이름으로 사실상 대운하를 추진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강은 강 그대로 있을 때 존재의 가치가 있다. 인위적으로 강바닥을 파헤치고, 물길을 이어 붙이는 것은 자연의 질서를 파괴하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강을 죽이는 것이고, 결국은 사람에게도 피해를 주는 일이다.

법전 종정예하가 새해를 맞아 발표한 법어에는 ‘지금의 우리’에게 주는 경책이 담겨있다. 자연을 소중히 여기라는 가르침으로 귀담아 들어야 할 법문이다. “…탐(貪)하는 이는 장애(障碍)의 풍운(風雲)이 높아 질 것이고 / 베푼 자는 오늘의 화택(火宅)을 벗어나는 길을 열 것이니…”

오늘도 산골 절에는 눈이 왔다. 소복하게 내린 눈 속에서 나무와 돌은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 우리에게 많은 선물을 주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두기를 바라며, 부디 새해에는 정부가 국민들의 마음을 헤아렸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나무 부처님과 돌 부처님의 몸에 상처를 주지 않고, 산(山) 부처님과 강(江) 부처님의 법신(法身)이 훼손되지 않았으면 한다.


[불교신문 2488호/ 12월27일자]

2008-12-24 오후 2:06:29 / 송고
코멘트현황
코멘트작성
※ 삭제나 수정시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물처리 버튼
새글 작성하기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자유게시판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583 눈물 흘리는 숭례문-아시아투데이 칼럼
/ 09-02-13 (금) / 조회 : 3,590
09-02-13 15:153,590
582 쪽빛 하늘과 진한 보위차
/ 09-02-13 (금) / 조회 : 3,727
09-02-13 15:143,727
581 수경 스님 살기 위해 길을 떠납니다
/ 09-02-13 (금) / 조회 : 3,448
09-02-13 15:133,448
580 강릉불교환경연대 26일 창립식(불교신문 기사내용)
/ 09-02-13 (금) / 조회 : 3,526
09-02-13 15:133,526
579 자연의 꿈
/ 09-02-13 (금) / 조회 : 3,564
09-02-13 15:123,564
578 자연음악을 소개합니다.
/ 09-02-13 (금) / 조회 : 3,540
09-02-13 15:123,540
577 "환경보살의 길로 나아갑니다."
/ 09-02-13 (금) / 조회 : 3,490
09-02-13 15:113,490
576 불교신문기사
/ 09-02-13 (금) / 조회 : 3,518
09-02-13 15:103,518
575 환경보존 소홀해선 안됩니다(강원일보기사)
/ 09-02-13 (금) / 조회 : 3,581
09-02-13 15:103,581
574 무자년을 열며
/ 09-02-13 (금) / 조회 : 3,402
09-02-13 15:093,402
573 제17기 대한불교 소년․소녀 합창/무용단 단원모집
/ 09-02-13 (금) / 조회 : 3,474
09-02-13 15:083,474
572 관동불교대학 학생모집
/ 09-02-13 (금) / 조회 : 3,420
09-02-13 15:073,420
571 현종 스님, 인사가 늦었군요 ^^
/ 09-02-13 (금) / 조회 : 3,559
09-02-13 15:053,559
570 소망을 갖게 하는 말입니다
/ 09-02-13 (금) / 조회 : 3,354
09-02-13 15:043,354
569 가느해 오는해
/ 09-02-13 (금) / 조회 : 3,338
09-02-13 15:033,338
568 가벼운 걸음으로 오세요
/ 09-02-13 (금) / 조회 : 3,380
09-02-13 15:023,380
567 오늘이라는 좋은 날에
/ 09-02-13 (금) / 조회 : 3,420
09-02-13 15:013,420
566 잘보고갑니다
/ 09-02-13 (금) / 조회 : 3,423
09-02-13 15:013,423
565 마음에 바르는 약
/ 09-02-13 (금) / 조회 : 3,340
09-02-13 15:013,340
564 반갑습니다!! 선재불화 미술원에서 인사드립니다.
/ 09-02-13 (금) / 조회 : 3,418
09-02-13 14:593,418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새글 작성하기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