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사라지는 우리 설날의 풍속

작성자현종
등록일2023년 02월 07일 (14:42)조회수조회수 : 863
중부일보 -
[현종칼럼]
사라지는 우리 설날의 풍속


우리 고유의 설 명절 풍속이 사라지고 있다. 이제 설 풍속도를 텔레비전 속에서나 보고 느낄 수 있다. 나와 아무 관련이 없는 듯한 설날이 되었다. 예전의 설날은 누구나 손꼽아 기다리던 최고의 명절이었다. 언젠가부터 설날을 구정이라 이름 붙여 고리타분한 시골 노인들이나 쇠는 것으로 격하시키더니, 다시 설날로 돌려놓았다. 참으로 다행이다.

그래 놓고 정작 우리가 외면하고 있다. 추석이나 설날 연휴에 유명관광지나 외국으로 여행을 떠난다. 여행갈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고 많은 사람들이 고향의 부모형제를 찾지 않는다. 내가 살고 있는 강릉은 추석이나 설이면, 연휴 내내 여행객들로 교통체증을 겪는다.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한국인은 한국인만의 정체성과 문화가 있다. 세시풍속이 있고 고유 명절이 있다. 예전 설날에는 큰집이나 작은집, 아주 가까운 친척 집의 어른들께 세배하고 정월 대보름날까지 타성바지 동네 어른들께 세배를 다녔다. 자연스럽게 어른을 공경하는 것을 배우고 몸으로 실천했다.

설날 놀이로 윷놀이와 널뛰기를 했다. 동네 누나들이 널뛰던 풍경이 눈에 선하다. 텅 빈 논바닥 양쪽에 구덩이를 파서 가운데로 높게 돋우어 널판을 올려놓고 높이높이 널뛰는 모습이 참으로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지금은 널을 뛸 누나들도 없고 아이들도 없다.

설날은 우리의 조상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고유의 명절이다. 설날 조상님들께 정성껏 마련한 제물로 차례를 지내고 떡국을 끊여서 다함께 나눠 먹었다. 설날을 새해라 하여 묵은 것을 다 털어내고, 새로운 마음으로 새 옷을 입고, 집안 나이 순서대로 세배를 했다. 새해에도 건강하고 무병장수 하시라고 축수를 드렸다. 그러면 어른들은 세뱃돈을 주시고 올 한해 소원성취하고 복 많이 받으라고 덕담을 해주셨다. 그렇게 정월 대보름날까지 즐기고 기렸다.

내가 어렸을 때는 한복을 입고 세배를 하고 차례를 지냈다. 추석이나 설날에는 우리의 옷인 한복을 꼭 입었다. 평소에는 불편하다고 입지 않던 한복을 명절에는 챙겨 입었다. 한복을 입고 오고 가는 사람들이 많아 명절 분위기가 있었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한복 입는 사람들이 줄어들더니 올해는 한복 차려 입은 사람을 한 사람도 볼 수 없다. 우연히 텔레비전을 보니 그 속에서 사람들이 한복을 입고 있었다. 왜 우리의 한복을 우리가 안 입고 연예인들만 입는 옷으로 변해버렸을까. 현실이 참으로 씁쓸하고 마음에 큰 구멍이라도 뚫린 듯한 느낌이 들었다.

누가 봐도 한복을 입은 남자, 여자,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보면 볼수록 한복의 우아함의 자태는 감동적이다. 한복을 입은 남자는 근엄하게 멋있고 여인은 아주 정숙하고 우아하고 아름답다.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를 보는 듯 아름답다. 때때옷인 색동저고리를 입은 아이들의 모습은 이 세상에서 제일가는 보물처럼 보인다.

정월 대보름을 앞둔 며칠 동안 풍물놀이를 하였다.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집집마다 돌며 액운을 물리치고 복덕을 빌었다. 그러면 집 주인은 갖가지 음식을 대접하며 마을 사람들 간의 우의를 돈독히 하였다. 또 연날리기를 하였다. 갖은 솜씨로 연을 만들어 온 들판을 뛰어 다니며 하늘 높이 연을 날렸다. 그러면서 먼 세상을 내다보며 꿈도 키웠다.

그뿐인가. 정월 대보름날에 달집을 지어 먼 산에 올라간 사람이 달뜬다고 외치면, 달집에 불을 붙여 태웠다. 달집에 불을 붙이면 풍물소리는 절정에 이른다. 할머니와 어머니는 달집이 타는 것을 보며 가족들의 안녕을 빌었다. 달집에 걸어 두었던 애지중지하던 연도 달집과 함께 다 태워 버린다. 타고 남은 잿불에 콩을 볶아 먹으면 부스럼이 안 난다고 어머니들은 콩을 볶아서 아이들에게 먹이기도 하였다. 그 콩 맛의 고소함이 그때의 그리운 사람들의 얼굴과 달집의 불빛과 보름달빛의 기억들로 아스라이 떠오른다.

그런데 중국이 설날을 자기네 명절이라고 우기고 있다. 아름다운 한복을 우리가 멸시하고 천대하니, 약삭빠른 중국인들이 슬며시 자기들 옷이라고 우기고 있다. 소중한 우리 문화를 소홀히 하는 새에 그런 일이 생겼다. 우리가 우리 것을 귀한 줄 모르고 남의 것만 좇다가 이렇게 된 것이다. 언젠가는 우리 한복을 중국인들이 세계에서 최고로 아름다운 중화의복이라고 자랑하며 입고 있는 모습을 볼 것이다.

우리가 우리 것을 천대하고 멸시하면 결국 나 자신을 하찮게 여기는 것이다. 사라져가는 설날의 풍속을 되살려야 한다. 또 우리 토양과 기후와 절기에 맞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세시풍속이나 놀이는 우리가 계승하고 후대에 전승해야 할 유산이다. 소중한 문화유산을 우리가 귀하게 여기고 지켜야 할 것이다.

현종 강릉 현덕사 주지
코멘트현황
코멘트작성
※ 삭제나 수정시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물처리 버튼
새글 작성하기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자유게시판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1601 현종스님 불교방송 시간 안내
연화주 / 19-03-23 (토) / 조회 : 2,684
연화주19-03-23 20:022,684
1600 지구온난화 (중부일보 칼럼)[3]
현종 / 19-03-17 (일) / 조회 : 2,502
3
현종19-03-17 10:282,502
1599 현종스님 불교방송 출연[1]
연화주 / 19-03-15 (금) / 조회 : 2,856
1
연화주19-03-15 01:442,856
1598 현덕사 현종스님 ~
연화주 / 19-03-15 (금) / 조회 : 3,179
연화주19-03-15 01:373,179
1597 옛날이야기
연화주 / 19-03-10 (일) / 조회 : 2,468
연화주19-03-10 08:412,468
1596 현덕사 템플스테이 더할나위없이 참 좋~다!
김미경 / 19-03-09 (토) / 조회 : 2,573
김미경19-03-09 06:502,573
1595 외할머니 집 같은 현덕사[2]
김명숙 / 19-02-28 (목) / 조회 : 2,425
2
김명숙19-02-28 01:152,425
1594 동 ㆍ식물 천도제[1]
연화주 / 19-02-24 (일) / 조회 : 2,363
1
연화주19-02-24 22:592,363
1593
탁려옥 / 19-02-24 (일) / 조회 : 2,210
탁려옥19-02-24 22:362,210
1592 오늘 현덕사에서[1]
탁려옥 / 19-02-24 (일) / 조회 : 2,278
1
탁려옥19-02-24 22:232,278
1591 에너지의 중심과 공간의 사고
채호준 / 19-01-23 (수) / 조회 : 2,370
채호준19-01-23 10:352,370
1590 별 헤는 가을 밤
조서은 / 18-09-21 (금) / 조회 : 2,477
조서은18-09-21 22:042,477
1589 책 보내드립니다[2]
성창용 / 18-09-12 (수) / 조회 : 2,473
2
성창용18-09-12 22:492,473
1588 현덕사 템플스테이
현덕사 / 18-08-08 (수) / 조회 : 3,126
현덕사18-08-08 16:073,126
1587 현덕사 템플스테이 휴식형[1]
템플체험자 / 18-07-18 (수) / 조회 : 2,961
1
템플체험자18-07-18 15:582,961
1586 현덕사 템플스테이
현덕사 / 18-07-02 (월) / 조회 : 3,006
현덕사18-07-02 21:243,006
1585 중부일보 컬럼 ㅡ소박한 산사의 밥상
현덕사 / 18-06-14 (목) / 조회 : 2,898
현덕사18-06-14 12:462,898
1584 [6.3~6.4] 1박 2일간의 템플스테이[1]
정한나 / 18-06-08 (금) / 조회 : 2,960
1
정한나18-06-08 16:342,960
1583 강릉항에서 요트 체험
현덕사 / 18-06-06 (수) / 조회 : 3,324
현덕사18-06-06 15:293,324
1582 향봉 노스님 제 35주기 추모제
현덕사 / 18-06-04 (월) / 조회 : 2,830
현덕사18-06-04 17:052,830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새글 작성하기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