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현덕사의 봄은 소리로 온다.(불교신문 수미산정)

작성자현덕사
등록일2011년 04월 03일 (09:28)조회수조회수 : 3,832
현종스님 / 봄은 소리로 먼저 느낀다


현종스님 / 논설위원·강릉 현덕사 주지



오늘따라 아침 햇살이 방안 깊숙이 들어와 내 마음을 흔들고 있다. 부지런한 햇살은 게으른 나를 밖으로 불러냈다. 폭설로 인한 고통이 엊그제 같은데 봄이 성큼 내 곁에 와 있는 것을 보았다. 갯가 옆 햇살 좋은 곳에 버들강아지도 피어 있다. 관심 있게 살펴보니 나무엔 봄기운이 파랗게 올라있고, 법당 앞엔 노란 꽃 수선화도 피어 있다.

눈 속에 핀 노란 생강꽃

내가 머물고 있는 현덕사에도 봄이 찾아 온 것이다. 엊그제 내린 눈이 아직 그늘에 남아 있고, 계곡의 얼음도 녹지 않고 남아있지만 얼음 속으로 흐르는 물소리가 예전과 다르다. 기지개를 켜며 깊이 숨을 들여 마시고 내쉬기를 반복하고 나니 봄도 따라 내안에 들어와 온 몸의 문을 활짝 열어 놓고 놀고 있다. 발길 닿는 대로 소나무 숲길도 걸어보고 밭으로 이어진 뚝길도 거닐어 보았다.

눈 속엔 노란 생강 꽃이 피었고, 산수유도 눈에 띈다. 추위에 떨며 나온 어린 쑥들도 재롱부리듯 귀엽게 몸을 낮추고, 밭 여기저기엔 파릇파릇한 이름 모를 풀들이 자라있다. 생강꽃은 매화나 진달래보다 먼저 피는, 봄을 알리는 전령사이다. 생강꽃은 산수유꽃과 비슷하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산수유꽃에 비해 생강나무의 노랑꽃은 초록빛이 감도는 것으로 모르는 사람에겐 구별이 쉽진 않지만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생강꽃으로 차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밭에서 나는 생강의 특유한 매운 맛이 생강꽃에서도 난다. 어린 순이나 가는 줄기로 차를 만들어 먹어도 좋은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생강나무 잎도 생으로 쌈싸 먹을 수 있고 장아찌로도 먹을 수 있다.

봄이면 여러 곳의 스님들 손길은 바쁘다. 봄에 나오는 꽃이나 어린 새싹들은 스님들이 일년내내 두고 먹을 수 있는 차로 만들어 두기 때문이다. 문득 생각하니 어젯밤 법당 앞 연뿌리가 묻혀있는 물웅덩이 안에서 때이른 참개구리 소리를 들은 기억이 난다. 우수.경칩이 지나면 개구리가 나온다고 하는데 실제 우리가 개구리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시기는 4월 초가 지나야 쉽게 들을 수 있는 것 같다.

우리는 봄을 소리로 먼저 느낀다고 한다. 바람 소리, 새 소리, 시냇물 소리, 풍경 소리조차도 봄엔 소리가 다르다. 자연과 가까이 있는 나는 아침에 동트기 전 재잘대는 새 소리에서 봄의 정겨움을 더욱 느낄 수 있다.

모든 대지가 겨울잠에서 깨어나기 위해 기지개를 켜며 몸을 뒤흔드는 소리를 우리가 듣지 못해 그렇지 천지를 울리며 모든 꽃들과 새싹들, 벌레들은 소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들은 봄이 오는 소리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 것 같다.

봄이 주는 희망, 그리고 기쁨, 모두를 꽃피우기 위해 가슴에 품고 있다. 마음이 항상 평화롭길 바라고 자유롭길 원한다. 그러기 위해선 마음을 비우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의 감정은 변화무쌍하여 계절처럼 자유롭게 날아다니기에 한 순간도 마음을 쉬지 못해 종일 바쁘고 한가한 날이 없다.

자연을 거닐며 비우는 행복

청정한 마음으로 한 찰라 간이라도 마음을 돌이켜 볼 수 있다면 불성의 바른 인(因)은 씨앗이 뿌려진 것이어서 꾸준히 공부를 더해가다 보면 언젠가 성취되는 날이 올 것이다. 긴 겨울이 가고 봄이 찾아오듯 우리의 수행도 하루하루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 속에서 무르익어 간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된다.

요즘 일본의 대지진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자연 재해가 우리를 불안하게 한다. 모든 것이 봄날 아지랑이 같이 꿈처럼 일었다가 사라진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작년에도 어리석었고, 올해도 마찬가지라면 너무 슬플 것 같다. 현덕사의 진달래도 얼마 후면 볼 것 같다. 햇살 좋은 봄날 잠시라도 자연 속을 거닐면서 비우고 행복하자.


[불교신문 2708호/ 4월2일자]
2011-03-30 오전 9:27:19 / 송고
코멘트현황
코멘트작성
※ 삭제나 수정시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물처리 버튼
새글 작성하기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자유게시판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1084 '에스프레소'1,2 - 마더감자/자작시[1]
/ 11-10-23 (일) / 조회 : 3,518
1
11-10-23 23:253,518
1083 '현덕사'커피체험을 다녀와서.....마더감자
/ 11-10-23 (일) / 조회 : 3,608
11-10-23 23:143,608
1082 커피 마시려 오세요.
현덕사 / 11-10-22 (토) / 조회 : 3,545
현덕사11-10-22 22:503,545
1081 너무 귀한 시간이었습니다.[3]
안영웅 / 11-10-19 (수) / 조회 : 3,752
3
안영웅11-10-19 23:423,752
1080 현덕사 불교신문 보도
/ 11-10-17 (월) / 조회 : 3,491
11-10-17 15:463,491
1079 동.식물 천도제를 다녀와서~~
비싸니맘 / 11-10-11 (화) / 조회 : 3,453
비싸니맘11-10-11 14:363,453
1078 인사드립니다[1]
강희숙 / 11-10-10 (월) / 조회 : 3,519
1
강희숙11-10-10 12:543,519
1077 환경본찰 강릉 현덕사, 10월8일 동식물 천도재 봉행(법보신문기사)[1]
현덕사 / 11-10-06 (목) / 조회 : 3,604
1
현덕사11-10-06 06:103,604
1076 도가니 영화를 보고나서...
현종 / 11-09-29 (목) / 조회 : 3,589
현종11-09-29 22:533,589
1075 노점상 밥 주던 어머니 창피했는데… 세상 지키는 힘, 거기 있었다.
조선일보기사 / 11-09-29 (목) / 조회 : 3,544
조선일보기사11-09-29 10:283,544
1074 "연탄가게 장남이 이만큼 성공한 건 막걸리 한 잔도 나눴던 아버지 덕분"
조선일보기사 / 11-09-29 (목) / 조회 : 3,606
조선일보기사11-09-29 10:223,606
1073 "부모 보고 기부 배워"
조선일보기사 / 11-09-29 (목) / 조회 : 3,424
조선일보기사11-09-29 10:183,424
1072 기부는 최고의 자식교육
조선일보기사 / 11-09-29 (목) / 조회 : 3,645
조선일보기사11-09-29 10:143,645
1071 가을이 깊어가니 현덕사가 그립습니다[1]
/ 11-09-28 (수) / 조회 : 3,398
1
11-09-28 10:583,398
1070 ◆ 조금 느려도 괜찮아!
승가원 / 11-09-27 (화) / 조회 : 3,412
승가원11-09-27 11:443,412
1069 문안작성
문안작성 / 11-09-25 (일) / 조회 : 3,467
문안작성11-09-25 17:043,467
1068 만월산 현덕사 개산12주년 법회봉행
현덕사 / 11-09-21 (수) / 조회 : 3,586
현덕사11-09-21 01:253,586
1067 8월 16일 현덕사템플스테이를 마친 뒤 한달만에 글을 쓰네요.[1]
이재헌 / 11-09-14 (수) / 조회 : 3,598
1
이재헌11-09-14 22:053,598
1066 달빛 같은 사람이 되시기를.....[1]
현종 / 11-09-11 (일) / 조회 : 3,663
1
현종11-09-11 11:473,663
1065 강원도립대 제8대 원병관 총장님 취임을 축하드립니다.
풀향기사랑 / 11-09-07 (수) / 조회 : 3,639
풀향기사랑11-09-07 00:543,639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새글 작성하기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