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현종칼럼] 산사의 가을 풍경

작성자현덕사
등록일2019년 12월 14일 (10:49)조회수조회수 : 2,344
[현종칼럼] 산사의 가을 풍경
  •  현종
  •  승인 2019.11.06 22:24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결실의 계절 가을이다. 가을하면 수식하는 말이나 글들이 다른 계절에 비해 훨씬 많다. 옛부터 천고마비의 계절이라 해서 하늘은 높고 말들은 살이 찐다고 하였다.

가을 하늘을 올려다 보면 다른 계절보다는 확실히 높게 보인다. 지난 봄에 현덕사 텃밭과 마당가에 들깨를 심어 놓은게 기특하게도 자라 때가 되니 벨 때가 돼 같이 일손을 보태 베었다. 그런데 낫으로 베는 순간 들깨향이 진하게 확 풍겨 오는게 참 좋았다. 어렸을 때 맡아 기억속에 있는 그 냄새였다. 토종이라 더 향이 더 진하고 기름을 짜면 고소함이 훨씬 더 고소하단다. 산속에 살다보니 계절의 변화를 도시에 사는 사람들보다 더 세세하게 느낀다. 눈으로 보고 느끼고 귀로 듣고 느끼고 몸으로 느낀다. 한여름의 무더위가 끝날때쯤 고추잠자리가 한두마리가 날아 다니는게 보이기 시작하면서 절 마당에 산그림자가 좀더 진하게 그려지면 가을이 시작됐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가을 풀벌레 소리가 들리고 감나무잎에 단풍이 들고 감나무의 감이 붉게 익어 가면 가을이다.

들녁의 벼들이 고개를 숙이고 누렇게 변해 가면서 피부로 느끼는 바람결에 상쾌함이 묻어 난다. 현덕사 도량에 피는 꽃을 보면서도 계절의 변화를 안다. 지금은 목화솜꽃이 하얗게 피어있다.목화꽃은 필때는 하얗게 피었다가 질때는 아주 고운 붉은 색으로 진다. 오늘 피었다 내일이면 진다. 아주 짧게 피는 꽃이다. 꽃이 지고 나면 다래가 열린다. 옛날 시골에서는 아이들이 어른들 몰래 솜이 되기전의 다래를 많이 따 먹었다. 하얀속살이 부더러운면서 달콤한게 참 맛이 달고 좋다. 현덕사에 오는 나이든 사람은 추억을 먹게하고 아이들이나 젊은이에게는 새로운 맛을 알게 해 준다. 다들 신기해하고 좋아들 한다.

약사불 가는 길에 가을꽃인 구절초와 쑥부쟁이가 흐드러지게 피고 질 때 쯤 예쁜 보라색으로 피는 용담이 무더기 무더기로 핀다. 그런데 풀이 너무나 무성하게 자라 다니기에 불편하여 절에 자주 오는 거사에게 풀을 좀 베어 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런데 그 길에는 용담이 죽 피어 있었다.

풀깍기를 하면서 어떤것을 살리고 깍기란 참 성가시고 어려운 것이다. 풀을 다 베고나서 죽 둘러보니 꽃들이 그대로 예쁘게 피어 있었다. 꽃은 살리고 잡초만 벤 것이다.

"우째 꽃을 다 살렸네요" 하니 너무 예쁜 꽃이라 힘들지만 다 살렸다고 하였다. 거사님은 참으로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진 좋은 분이라고 칭찬을 해 드렸다.

누구나 과일을 좋아 하겠지만 특별히 좋아하는 과일이 있을 것이다. 나는 감을 좋아 한다. 특히 써리를 맞은 감이면 다 잘 먹는다. 오히려 단감보다는 떫은 감을 더 좋아한다. 그래서 가을이면 몸무게가 는다. 지금 현덕사 감나무에는 가을 햇살을 받아 잘 익은 감들이 주렁주렁 달려 있다. 감잎은 몇일전에 강한 비바람에 다 떨어졌다. 파란 하늘과 발갛게 익어 가는 감나무의 감이 참 잘 어울리는 가을의 정취이다.

몇년전에 고향에서 구한 단성감 묘목을 열그루를 심었다. 그런데 서너그루는 죽고 대여섯그루가 살아 남았다. 극락전앞에 한그루에만 올해 첫감이 열렸다. 다른 나무에는 하나도 안 열렸는데 그 나무에는 가지가 부러질 정도로 많이 달려서 가지마다 나무로 고여 주었다. 보살님들이 화초감 같다고 하였다. 그 감이 바로 단성감이다. 그런데 아직 서리가 내리지 않아 먹지는 못 했다, 과연 어렸을때 먹었던 그 맛이 날련지 궁금하다. 감중에는 단성감이 최고의 감이라 생각된다.

해마다 가을이면 곶감을 깍아 처마밑에 매달아 말린다. 올해도 줄에 꿔어 매달아 놨다. 곶감은 오래두고 먹을수 있어 좋다. 그리고 가장 가을 다움을 느끼게 하는 풍경이다. 절에는 큰 밥상이 많아서 감홍시를 만들어 먹기에 좋다. 감을 따다가 상위에 죽 늘어 놓고 홍시가 되는 순서대로 먹으면 된다. 겨울 내내 달달한 감홍시를 먹는 호사를 누리고 산다. 그리고 딴 감 보다는 감나무에 그대로 매달려 있는 감이 훨씬 더 많다. 감나무가 너무커서 다 딸 수가 없다. 겨우내 꽁꽁 언 홍시를 바로 따서 먹는 맛은 산사의 최고 별미이다. 물론 산새들도 같이 나눠 먹는다.

 

현종 강릉 현덕사 주지

출처 :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373291

코멘트현황
게시물처리 버튼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만월산이야기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40 만불신문 기사
/ 09-02-17 (화) / 조회 : 2,240
09-02-17 16:162,240
39 산사체험기 - 2부
/ 09-02-17 (화) / 조회 : 2,336
09-02-17 16:152,336
38 산사체험기 - 1부
/ 09-02-17 (화) / 조회 : 2,319
09-02-17 16:142,319
37 조계종 포교원 주관 제4차 포교종책연찬회의 글
/ 09-02-17 (화) / 조회 : 2,423
09-02-17 16:122,423
36 나의 도반 직지사 강주 지우스님. (불교신문)
/ 09-02-17 (화) / 조회 : 2,430
09-02-17 16:112,430
35 강원도민일보에 실린 현종스님 글.
/ 09-02-17 (화) / 조회 : 2,160
09-02-17 16:102,160
34 일체유심조 ( 불교신문 9월 7일 )
/ 09-02-17 (화) / 조회 : 2,147
09-02-17 16:102,147
33 마음의 窓 (강원일보) 2005. 7. 14일자 12면
/ 09-02-17 (화) / 조회 : 2,110
09-02-17 16:092,110
32 [한국불교 새얼굴] 강릉 현덕사 주지 현종스님 - 만불신문에서
/ 09-02-17 (화) / 조회 : 2,350
09-02-17 16:092,350
31 마음이 지옥되나니
/ 09-02-17 (화) / 조회 : 2,170
09-02-17 16:082,170
30 바른 마음으로
/ 09-02-17 (화) / 조회 : 2,059
09-02-17 16:082,059
29 십 선 계 (十善戒)
/ 09-02-17 (화) / 조회 : 2,223
09-02-17 16:062,223
28 진정한 행복
/ 09-02-17 (화) / 조회 : 2,072
09-02-17 16:062,072
27 과 보 (果 報)
/ 09-02-17 (화) / 조회 : 2,272
09-02-17 16:062,272
26 부처님의 말씀 중에서..
/ 09-02-17 (화) / 조회 : 2,135
09-02-17 16:052,135
25 보시하는 마음에서 부처님 본다
/ 09-02-17 (화) / 조회 : 2,048
09-02-17 16:052,048
24 대장경의 숲을 거닐며 (불교신문 8월20일)
/ 09-02-17 (화) / 조회 : 2,027
09-02-17 16:042,027
23 현종스님의 들꽃 이야기(찔레꽃)
/ 09-02-17 (화) / 조회 : 1,979
09-02-17 16:041,979
22 현종스님의 들꽃 이야기 (해당화ㅣ)
/ 09-02-17 (화) / 조회 : 2,084
09-02-17 16:032,084
21 장병들에게 부처님 말씀 전하기
/ 09-02-17 (화) / 조회 : 2,091
09-02-17 16:032,091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1 2 3 4 5 6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