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염불은 왜 하는가?

작성자
등록일2012년 03월 15일 (09:44)조회수조회수 : 3,587
숭산스님 법어 법문

    염불은 왜 하는가?
    어느 일요일 저녁, 화계사 국제선원에서 법문이 있은 후에 한 제자가 숭산 선사께 질문을 했습니다.
    “염불은 왜 하는 겁니까? 좌선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가 않습니까?”
    선사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다. 우리는 함께 절하고, 함께 염불하고, 함께 공양하고, 함께 좌선하고 그 밖에도 선원에서 모든 일을 함께 한다. 우리는 왜 함께 수행을 해야 하느냐?
    모든 사람은 저마다 각기 다른 업을 지녔다. 그래서 모든 사람들은 상황이 각기 다르고 조건이 다르고 견해가 다르다. 어떤 사람은 스님이고 어떤 사람은 학생이고 어떤 사람은 공원이듯 말이다.

    항상 깨끗한 마음을 지니는 사람도 있고, 가끔가다 불안하고 불만을 느끼는 사람도 있으며, 여권운동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은 ‘내 생각이 옳다!’라고 생각한다. 심지어는 선사들까지도 그러하다.
    열 사람의 선사마다 제각기 다른 지도방법을 갖고 있으며, 그들은 자기 방법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미국인은 미국식 사고방식을 가졌고, 동양인은 동양식 사고방법을 가졌다. 다른 견해에서 다른 행동이 나오고 다른 업을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네가 너의 생각을 고집하면 너의 업을 다스리기가 매우 힘이 들게 되고 너의 삶이 고통으로 남는 것이다.
    너의 틀린 견해가 계속되는 한 너의 나쁜 업은 계속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선원에서는 우리는 함께 살고 수행하며, 모두가 선원청규대로 따라야 한다. 남달리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구별하는 사람들도 우리에게로 오면 점차 그런 것을 떨쳐 버린다.
    새벽4시에 전원 모두가 백팔배를 ‘함께’하고 ‘함께’공양하고 ‘함께’ 일을 한다. 어떤 때는 절을 하기가 싫을 때도 있겠지만, 이것이 선원규정이기 때문에 따라 하는 것이다.
    또 어떤 때는 염불하기가 싫을 때도 있지만 그래도 한다. 어떤 때 너는 피곤해서 자고 싶지만, 좌선하러 가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할 거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좌선을 하는 것이다.
    우리가 공양을 할 때는 절 방식대로 네 개의 발우에다 먹고, 공양이 끝난 뒤에는 차를 부어 검지손가락으로 씻게 되어 있다. 처음 몇 번은 이런 방식대로 차를 마시는 것을 모두 싫어했었다. 미국 캠브릿지 선원에서 온 젊은이 하나가 내게 와서 화를 냈다.
    ‘이런 식으로 먹는 게 싫습니다! 그 차 속에는 찌꺼기가 많이 있습니다. 그건 도저히 마실 수 없어요!’내가 그에게 말했다. ‘《반야심경》을 아느냐?’ ‘네.’

    ‘경에서 이르기를, 불구부정(不坵不淨)이라고 하지 않더냐?’‘네.’‘그런데 왜 그 차를 못 마시겠다는 거지?’‘왜냐하면 더럽기 때문입니다.’
    (대중들의 웃음소리)
    “왜 그게 불결하다는 거냐? 그 찌꺼기들은 이미 네가 먹은 음식물에서 나온 것이다. 만일 네가 그 차를 더럽다고 생각하면 더러운 것이고, 깨끗하다고 생각하면 께끗한 것이다.”
    그 젊은이가 말했다.
    “선사님 말씀이 옳습니다. 그 차를 마시겠습니다.”
    (웃음소리)
    그래서 우리는 함께 살고 함께 행동하는 거다. 함께 행동한다는 것은 바로 각자의 사견과 개인적인 조건 그리고 개인적인 상황을 모두 끊어내는 것을 뜻한다. 그럼으로써 우린 빈 마음이 되는 것이다. 본래의 백지 상태로 돌아
    가는 것이다. 그럴 때 우리의 진정한 생각과 진정한 조건, 진정한 상황이 나타나게 된다. 우리가 함께 절하고, 함께 염불하고, 함께 공양할 때, 우리의 마음은 한 마음이 되는 것이다.
    바다의 수면(水面)과 똑같다. 바람이 일면 수많은 파도가 일어난다. 바람이 잦아들면 그 파도는 작아진다. 이윽고 바람이 멈출 때 그 물은 거울과 같이 되어 모든 사물을 반사한다.
    산, 나무, 구름 등을.
    우리의 마음도 이와 똑같다. 우리가 욕심을 많이 내고, 사견을 많이 가지면 거기에는 거센 파도가 일게 된다. 그러나 가끔씩 좌선을 하며 함께 행동을 하면 우리의 사견과 욕심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 물결은 점점 작아져서 우리의 마음이 깨끗한 거울같이 될 때 우리가 보는 것, 듣는 것, 냄새 맡는 것, 맛보는 것, 만지는 것이나 생각하는 것 모두가 진리가 된다. 그때에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기가 너무 쉽다. 다른 사람의 마음이 그대로 네 마음에 비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염불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처음에 너는 이해하기가 힘들겠지만, 규칙적으로 염불을 하다 보면 이해하게 될 것이다.
    “아, 염불은 아주 좋은 느낌을 주는 것이다!”라고
    이것은 백팔배와도 같은 것이다. 처음에 사람들은 이것을 싫어한다. 왜 절을 해야 되는가?
    우리는 부처님에게 절을 하는 게 아니고 우리 자신들에게 절을 하는 것이다. 작은 나〔小我〕가 큰 나〔大我〕에게 절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작은 나는 없어지고 큰 나가 된다. 이것이 진짜 절이다. 그러니 와서 함께 실행해 보자. 너도 곧 깨닫게 될 것이다.”.
    그 제자는 큰절을 올리며 말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현황
코멘트작성
※ 삭제나 수정시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물처리 버튼
새글 작성하기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자유게시판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1284 조계사 음악회 후기(가수 야운과 들구름악단)
들구름 / 12-11-06 (화) / 조회 : 3,623
들구름12-11-06 20:143,623
1283 서울 둥지회 환영합니다
현덕사 / 12-11-04 (일) / 조회 : 3,463
현덕사12-11-04 09:303,463
1282 새누리당 도의원 방문 환담
현덕사 / 12-11-03 (토) / 조회 : 3,561
현덕사12-11-03 16:533,561
1281 서울지검의 즐거운 커피 만들기
현덕사 / 12-11-03 (토) / 조회 : 3,563
현덕사12-11-03 14:373,563
1280 템플스테이~[1]
안녕하세요 / 12-11-01 (목) / 조회 : 3,546
1
안녕하세요12-11-01 21:373,546
1279 蔘千拜(삼천배)[1]
현덕사 / 12-10-29 (월) / 조회 : 3,828
1
현덕사12-10-29 08:123,828
1278 당신을 위해 이 글을 바칩니다
들꽃향기 / 12-10-28 (일) / 조회 : 3,520
들꽃향기12-10-28 16:043,520
1277 스님이 커피 볶고...커피향 가득한 강원도 山寺
현덕사 / 12-10-28 (일) / 조회 : 5,458
현덕사12-10-28 09:375,458
1276 현덕사/연합뉴스/원두커피 볶는 스님과 신도들
현덕사 / 12-10-25 (목) / 조회 : 4,121
현덕사12-10-25 19:024,121
1275 현덕사 연합뉴스/ 오늘은 내가 바리스타 "커피 볶는 스님"
현덕사 / 12-10-25 (목) / 조회 : 4,091
현덕사12-10-25 18:474,091
1274 산사의향기 -커피향 2탄[1]
정솔뫼 / 12-10-24 (수) / 조회 : 3,731
1
정솔뫼12-10-24 22:563,731
1273 도량가득법의향기-커피향
정솔뫼 / 12-10-24 (수) / 조회 : 3,526
정솔뫼12-10-24 22:213,526
1272 아하~ 템플스테이였어~!![1]
윤미자 / 12-10-21 (일) / 조회 : 4,231
1
윤미자12-10-21 16:314,231
1271 다시 찾은 돈황
현종 / 12-10-15 (월) / 조회 : 3,669
현종12-10-15 22:033,669
1270 언제나 제자리에...
이은영 / 12-10-15 (월) / 조회 : 3,596
이은영12-10-15 15:173,596
1269 알차면서도 여유로웠던..[1]
김형선 / 12-10-14 (일) / 조회 : 3,505
1
김형선12-10-14 19:443,505
1268 알차면서도 여유로웠던..[1]
김형선 / 12-10-14 (일) / 조회 : 3,656
1
김형선12-10-14 12:183,656
1267 "커피로스팅 및 커피명상" 이 한국일보에 게재되었습니다.
심옥남 / 12-10-14 (일) / 조회 : 3,800
심옥남12-10-14 09:493,800
1266 러시아의료인 체험 사찰치유식단 시연회
심옥남 / 12-10-14 (일) / 조회 : 3,855
심옥남12-10-14 06:013,855
1265 오늘은 좋은 생각하는 날
초파일신도 / 12-10-12 (금) / 조회 : 3,671
초파일신도12-10-12 11:243,671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새글 작성하기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